프로젝트 기준선 성과 측정과 예측 2가지 이론 설명

프로젝트 기준선 성과 측정과 예측 2가지 이론 설명

프로젝트 기준선 성과 측정과 예측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프로젝트 기준선 성과 측정과 예측 지표는 프로젝트의 성과 측정 영역에서 매우 중요한 부분입니다. 프로젝트의 대표적인 성과 지표는 일정과 원가의 계획 대비 실적을 평가하는 지표이며, 이러한 일정과 원가의 계획을 기준선이라고 부릅니다.

기준선 성과 지표 측정은 계획을 중요하게 다루는 예측형 접근 방식 개발 프로젝트 방식에서 모니터링과 통제를 위해서 사용하는 내용입니다. 그럼 프로젝트 기준선 성과 측정과 예측 지표에 대해서 좀 더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젝트 기준선 성과 측정 이해

프로젝트 기준선 성과는 계획 대비 실제 성과를 측정하여 추적 관리하는 것입니다. 기준선 성과 측정은 일정 측면에서의 성과와 원가 측면의 성과를 측정하는 것입니다. 일정 측면의 성과에서는 시작 날짜와 완료 날짜가 있습니다. 시작 날짜와 완료 날짜는 계획 시작일과 실제 시작일, 그리고 계획 완료일과 실제 완료일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각 작업들의 계획 시작일과 실제 시작일, 계획 완료일과 실제 완료일을 비교하는 것은 일정 관리의 가장 기본적인 활동들입니다. 주공정에 있는 작업이 지연되면 프로젝트 기간은 그만큼 지연되고 주공정이 아닌 작업도 지연되면 프로젝트가 계획대로 진행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주공정이 아닌 작업의 지연이 길어지면 해당 작업이 주공적으로 변경될 수 있습니다. 업무량과 기간은 계획된 업무량, 실제 업무량, 기간을 측정하는 것입니다. 작업 수행을 위한 투입 공수와 기간에 대한 계획 대비 실적을 분석하면 다양한 정보들을 파악할 수 있게 됩니다. 투입 공수는 원가 실적과 연계되고 기간은 일정 실적과 연계됩니다. 투입 공수 준수율은 업무량에 대한 산정 값과 투입 자원의 생산성을 판단하는데 활용할 수 있습니다. 투입 공수가 계획보다 많으면 업무량을 과소 산정했거나 투입 자원의 생산성을 과대 평가한 것입니다. 기능 완료율은 검토된 기능 수락 비율을 통해서 진행 상황을 평가하고 완료일을 추정하는 것입니다. 기능 완료율은 애자일 프로젝트 방법론을 적용할 때 진척률을 평가하는 지표입니다.

기능 완료율은 에픽 완료율과 유저 스토리 완료율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기능 완료율을 계산하기 위해서는 기능의 규모를 계산해야 합니다. 기능의 규모를 계산하는 방법은 개수로 산정하는 방식과 기간으로 산정하는 방식, 투입 공수로 산정하는 방식이 있습니다. 여기서 개수로 산정하는 방식을 사실 좋지는 않습니다.

획득 가치 관리를 활용하여 일정 차이와 일정 성과 지수를 측정하게 됩니다. 원가 차이는 특정 시점까지 완료한 업무에 계획된 원가와 실제 투입된 실적 원가 차이를 의미합니다. 획득 가치 분석에서 원가 차이를 측정하는 공식은 원가 차이에서 획득 가치와 실제 원가를 차감한 것입니다. 원가 성과 지수는 원가를 준수하는 정도를 의미합니다. 원가 성과 지수를 측정하는 공식은 획득 가치를 실제 원가로 나눈 값입니다. 원가 측면의 성과에서는 계획 원가와 실제 원가가 있습니다. 그리고 획득 가치 관리를 활용하여 원가 차이와 원가 성과 지수를 측정하게 됩니다.

프로젝트 기준선 성과 세부 설명

획득 가치 관리(EVM, Earned Value Management)는 범위, 일정, 원가와 관련된 지표들을 활용하여 프로젝트 일정과 원가 측면의 성과를 측정하고 예측하기 위한 기법입니다. 획득 가치는 프로젝트에서 이미 완료한 일의 가치를 의미합니다. 획득 가치 관리는 성과 측정과 예측 2가지로 분류됩니다. 성과 측정은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습니다. 계획 가치(PV, Planned Value)는 BCWS(Budgeted Cost for Work Scheduled)라고 하고 계획된 일의 양에 대한 가치를 의미합니다.

계획 가치는 특정 시점까지 완료하기로 계획된 업무의 양입니다. 획득 가치(EV, Earned Value)는 BCWP(Budgeted Cost for Work Performed)라고 하고, 완료된 일의 양에 대한 가치를 의미합니다. 획득 가치는 특정 시점까지 완료한 업무의 양입니다. 실제 원가(AC, Actual Cost)는 ACWP(Actual Cost for Work Performed)라고 하고, 완료된 작업에 실제 사용한 비용을 의미합니다. 실제 원가는 특정 시점까지 완료된 업무에 투입된 실적 원가입니다. 획득 가치와 계획 가치가 업무의 양을 의미한다면 실제 원가는 실제 돈을 의미합니다. 일정 차이(SV, Schedule Variance)는 획득 가치를 계획 가치로 뺀 값입니다. 그리고 해당 값이 양수이면, 일정 단축을 의미하고 음수이면 일정 지연을 의미합니다.

일정 성과 지수(SPI, Schedule Performance Index)는 획득 가치를 계획 가치로 나눈 값입니다. 일정 성과 지수가 1보다 크면 일정 단축이고 1과 같으면 일정 준수이며 1보다 작으면 일정 지연입니다. 원가 차이(CV, Cost Variance)는 획득 가치를 실제 원가로 뺀 값입니다. 원가 차이가 양수이면 예산 절감을 의미하고, 음수이면 예산 초과를 의미합니다. 원가 성과 지수(CPI, Cost Performance Index)는 획득 가치를 실제 원가로 나눈 값입니다. 원가 성과 지수가 1보다 크면 예산 절감이고 1과 같으면 예산 준수이며 1보다 작으면 예산 초과입니다.

획득 가치는 특정 시점까지 프로젝트 팀원들이 수행한 업무의 양을 계량화하여 표현한 개념입니다. 프로젝트 팀에서 달성한 업무의 양은 공정 진척률 산정을 위한 기초 데이터입니다. 외부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방식일 경우에는 발주사의 대가 지급의 근거가 되는 매우 중요한 데이터입니다. 인도물의 규모로 측정하는 것이 사실상 가장 직관적인 방법이지만 인도물은 유형에 따라서 규모를 측정하는 단위가 달라질 수 있으며 그 숫자들을 각각 더할 수 없는 단점이 있는 것입니다. 문서의 경우도 프로젝트에 따라 내용이 다르기 때문에 문서 페이지 수로 업무의 양을 측정할 수 없는 것입니다.

그래서 서로 유형이 다르고 단계가 다른 업무들의 양을 하나의 측정 단위로 표현하는 것이 획득 가치입니다. 획득 가치 분석에서는 업무의 양을 평가하는 가중치로 원가를 채택합니다. 업무의 양을 원가로 평가하면 프로젝트 유형에 상관 없이 공통적으로 적용할 수 있고 객관성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획득 가치 분석에서는 원가와 일정을 따로 보지 않으며 이를 통합해서 프로젝트의 성과를 파악합니다.

프로젝트 예측 지표에 대한 설명

프로젝트 팀은 예측 값을 통해서 미래에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을 고려하여 그에 따라 계획과 작업을 조정할지 여부를 검토하고 논의할 수 있습니다. 예측은 전문가의 판단에 의해서 정성적인 기준이 될 수도 있고 과거의 정보를 활용하여 미래를 추정하기 위한 정량적 예측 값으로 측정하기도 합니다. 획득 가치 관리는 성과 측정과 예측으로 구분됩니다. 완료 시점 예산(BAC, Budget At Completion)은 프로젝트 전체 예산입니다. 잔여분 산정치(ETC, Estimate To Completion)는 프로젝트 진행 과정에서 예상한 남아 있는 잔여 작업들을 모두 완료하기 위해서 예상되는 원가입니다. 이는 잔여 작업을 작업의 생산성으로 나눈 값입니다.

완료 시점 산정치(EAC, Estimate At Competion)는 프로젝트 진행 과정 중에 예상한 완료될 때 까지의 프로젝트 총 원가입니다. 여기서 완료는 모든 작업들을 완료하는데 필요한 원가입니다. 완료 시점 차이(VAC, Variance At Completion)는 프로젝트 종료 시점에 예상되는 절감이나 초과에 대한 원가입니다. 완료 성과 지수(TCPI, To Complete Performance Index)는 목표 달성을 위한 잔여 자원으로 성취해야 하는 원가 성과입니다. 계획대로 완료하기 위해서 유지해야 하는 효율입니다.

완료 성과 지수는 잔여 작업을 잔여 예산으로 나눈 값입니다. 프로젝트의 이해 관계자들이 가장 궁금해 하는 성과 지표는 예상 완료일과 완료 시 예상 원가입니다. 미래 지표를 예측하는 방법은 전문가들이 정성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을 사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 이외에도 과거의 실적에서 미래를 정량적으로 예측하는 방법도 있는 것입니다.

완료 시 예상 원가는 기존에 발생한 원가에 남은 작업 수행을 위한 예상 원가를 합친 값입니다. 회귀 분석은 종속 변수와 독립 변수들의 인과 관계를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특정 변수의 미래 성과를 예측하는 기법입니다. 처리량은 정해진 기간 동안 완료되는 업무의 양을 말합니다. 처리량 분석은 적응형 개발 방식의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사용할 수 있습니다. 처리량 분석을 통해 미래의 생산성을 예측하여 미래 투입될 추가 원가와 예상 완료일을 예측합니다. 이전 반복 주기의 속도를 분석하여 다음 반복 주기의 백로그 규모를 조정할 수 있습니다.